News

Stock Appreciation Right (SAR)

Stock Appreciation Right(SAR) 은 Employee 에게 지급되는 Equity Compensation 의 일종으로 Appreciated value, 즉 Grant date 과 Exercise date 의 Stock Price 차이 만큼 보상을 받게 됩니다. Stock Option 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Employee 가 Exercise Date 에 실제 Cash 를 지급하고 Stock 을 구매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입니다.  Appreciated value 는 Cash or Equivalent Number …

Stock Appreciation Right (SAR) Read More »

Equity Compensation Tax Treatment (ESPP-Q VS ESPP-NQ)

Employee Stock Purchase Plan (ESPP) 이란 직원에게 discounted 된 price 로 주식을 살수 있는 권리를 제공함을 말합니다. ESPP 에는 Qualified 와 Non-Qualified 두가지 종류가 존재하고 우선 Qualified ESPP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  1. ESPP – Qualified Qualified ESPP의 경우, ESPP를 통해 매입한 주식을 판 해에 세금보고 대상이 됩니다. 또한 W2를 통한 Ordinary Income 보고 및 …

Equity Compensation Tax Treatment (ESPP-Q VS ESPP-NQ) Read More »

Equity Compensation Tax Treatment (ISO vs NQSO)

직원으로서 받을 수 있는 Equity Compensation (주식 관련 보상) 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. 1)    Incentive Stock Options 2)    Stock Options (Non-Qualified) 3)    Tax-Qualified Employee Stock Purchase Plan (ESPP) 4)    Non-Qualified Employee Stock Purchase Plan (ESPP) 5)    Stock Appreciation rights 6)    Restricted Stock Units or Restricted Stock awards 7)    Restricted stock awards with a section 83(b) election …

Equity Compensation Tax Treatment (ISO vs NQSO) Read More »

Non-Resident Alien에 적용되는 Filing status, Deduction and Tax Credit

이번Article 에서는 세법상 Non-Resident 라면 “어떤 Filing Status를 선택할 수 있는지”, “어떤 과세소득 공제(Deduction)을 Claim 할 수 있는지”, 그리고 “어떤 세액공제(Tax Credit)”을 Claim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Filing Status –Single 결혼을 하지 않은 Non-Resident 에게 default 로 적용되는 Filing Status입니다. – Married Filing Jointly 부부 중 한명이라도 해당 tax year 동안 Non-Resident (세법상 비거주자) …

Non-Resident Alien에 적용되는 Filing status, Deduction and Tax Credit Read More »

Social Security & Medicare Tax (미국 사회 보장세)

미국에는 연방과 주정부 각각을 기준으로 여러가지 세금들이 있지만, 우리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접하는 세금은, 소득세(Income Tax) 와 사회보장세(Social Security & Medicare tax) 입니다. 소득세(Income Tax)의 경우 매년 1-4월 사이, 세금보고서 작성을 통해 납부하게 되는 세금이고 (물론 상황에 따라 미리 예납이 필요), 일반적인 경우 누진세가 적용됩니다. (소득의 종류에 따라 별도세율이 정해진 경우도 있음) Social Security & …

Social Security & Medicare Tax (미국 사회 보장세) Read More »

세법상 비거주자 (Non – Resident)는 어떤 소득을 어떻게 보고해야하나?

미국 세법상의 거주자는 전세계 모든 소득(Worldwide Income)을 미국 세금신고서에 보고해야 합니다.   하지만 미 세법상 비거주자(Non-Resident)는 연방 세법(IRC Code 871)에 의거해 미국 발 소득(U.S. Source Income) 만을 과세 소득으로서 미국 세금신고서에 보고합니다. 미국 발 소득이란 “벌어들인 소득의 원천이 미국에 있다” 라는 말이고, 소득의 종류별로 어떤 소득이 미국 발 소득인지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표를 보면 확인 가능합니다.   Item of income …

세법상 비거주자 (Non – Resident)는 어떤 소득을 어떻게 보고해야하나? Read More »

F-1, J-1 비자분들이 평소에 소득세를 원천 징수하는데도 왜 상당수가 세금보고 작성시 또 세금을 내게 되는 걸까요? 왜 극소수만 환급을 받게 되는 걸까요?

우선 가장 많이 하시는 질문인 “ 세금을 미리 원천징수 했는데 왜 세금보고 작성시 또 세금을 내야하나요?” 에 대해 답변을 드리겠습니다.   세금을 원천 징수한 것은, 말그대로 “원천징수를 한 것”이지 납부해야 할 “정확한 총 세금을 납부했다”는 말이 아닙니다. 세금을 미리 원천징수를 했더라도, 최종 세금보고 작성결과 계산된 본인의 Total Tax 가 미리 원천징수한 세금보다 클 경우 해당 차액을 납부해야 …

F-1, J-1 비자분들이 평소에 소득세를 원천 징수하는데도 왜 상당수가 세금보고 작성시 또 세금을 내게 되는 걸까요? 왜 극소수만 환급을 받게 되는 걸까요? Read More »

세법상 거주자(Resident Alien)와 비 거주자(Non-Resident Alien)의 세금보고 차이점

이번 Article은 특히 세법상 비 거주자인 J-1, F-1 VISA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글입니다.      (세법상 거주자 or 비거주자 판단법은 “미국 개인 세금보고의 기본! 나는 세법상 거주자(Resident Alien)일까 아니면 비 거주자(Non-Resident Alien)일까?” Article 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)     세법상 거주자(Resident Alien) 우선 세법상 거주자는 form 1040 라는 양식을 통해서 세금보고를 합니다. 또한 미국 세법상 거주자는 …

세법상 거주자(Resident Alien)와 비 거주자(Non-Resident Alien)의 세금보고 차이점 Read More »

미국 개인 세금 보고의 기본! 나는 미 세법상 거주자(Resident Alien) 일까 아니면 비 거주자(Non-Resident Alien)일까?

미국 개인 세금 보고서는 크게 세법상 거주자(Resident Alien)를 위한 Form 1040와 세법상 비거주자(Non-Resident Alien)를 위한 Form 1040NR 로 나누어집니다.   본인이 미 세법상 거주자 인지 비 거주자 인지에 따라 어떤 소득을 미국세금보고서에 보고해야 하는지, 어떤 세금공제 혜택 등을 받을 수 있는지, 어떤 종류의 세금을 내야 하는지 등등이 결정됩니다.   그러면 어떠한 기준으로 미 세법상 거주자(Resident …

미국 개인 세금 보고의 기본! 나는 미 세법상 거주자(Resident Alien) 일까 아니면 비 거주자(Non-Resident Alien)일까? Read More »

What type of business structure (entity) should I choose? | 비즈니스를 시작하려고 하는데, 어떤 사업체를 선택해야 할까요?

비즈니스를 시작하려고 하는데, 어떤 사업체를 선택해야 할까요? 비즈니스를 하기 앞서 가장 신중히 결정해야 할것은 “어떤 사업체로 비즈니스를 운영할것인가” 입니다. 사업체에 따라 회계(Accounting) 및 세금(Tax)관련 적용되는 Rule 이 달라지기 때문에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사업체를 고르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   사업체의 종류 사업체의 종류로는 Sole Proprietorship/C-corporation/LLC (Limited Liability Company)/Partnership이 있습니다. S-corporation의 경우 별도의 사업체가 아닌 IRS 세법Rule에 따른 Tax Designation …

What type of business structure (entity) should I choose? | 비즈니스를 시작하려고 하는데, 어떤 사업체를 선택해야 할까요? Read More »

error: Content is protected !!